초보입니다ㅠㅠ 동료들과 공유하는 페도라 서버 사용시 드보락 설정하는법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매번 가입 안하고 글만 읽다가 처음 가입해서 질문드립니다.
1. 윈도우 7 64bit + 새나루(드보락+쿼티단축키) + putty 에서 쿼티로 입력됩니다.
2. 리눅스는 제 컴퓨터가 아니라 연구실 서버 컴퓨터라서 설정을 바꾸면 전원이 곤란해지기때문에 제 계정만 드보락이 되도록 설정하고싶습니다.
3. Configure - Keyboard Layout 에서 설정해보려했지만 Keyboard model이 안뜹니다.
4. 드보락만 된다면 한글 입력은 안써도 됩니다.
먼저 상황을 말씀드리자면, 윈도우 7 64비트 사용중이고 윈도우에서는 새나루에서 드보락+쿼티 단축키 조합으로 이용중입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번에 페도라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해야되는데요, Putty telnet으로 접속해도 쿼티로 입력되고 원격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페도라 GUI를 써도 쿼티로 입력되더군요.
구글이랑 여기서 조금 검색해보니
1. 드보락 설정을 하려면 etc/keymap 쯤 되는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수정을 해야한다는데, etc디렉토리는 유저가 root라서 제가 접근할 수 없고, 슈퍼유저로 로그인하여 설정을 바꿔버리면 연구실 선배님들 것 까지도 바뀔 것 같아서 못하고있습니다.
2. 그리고 리눅스에서 system setting 에 들어가서 keyboard 를 바꾸려고 하니 "You are attempting to run "system-conifg-keyboard" ..." 하면서 Password for root를 요구하는데, 이걸로 바꾸면 또 연구실 분들 전원이 드보락으로 바뀔거같아요.
3. 마지막으로 바탕화면에 있는 Start Here 에 들어가보니 Regional & Accessibility 몌뉴가 있어서 거기 있는 Keyboard Layout을 들어가봤는데요, Enable keyboard layouts 을 체크하고 Keyboard model을 선택하려고 눌렀더니 키보드 모델이 아무것도 안뜹니다.
현재는 원격접속하는 프로그램에서 드보락레이아웃을 설정하여 쓰고있는데, 이래도 putty telnet은 여전히 쿼티로 입력해야되서 불편함을 겪고있습니다. 만약 리눅스 서버에서 제 계정의 설정을 드보락으로 바꿀 수 있다면 편해질 것 같아서 혹시 방법 아시는 분 없나 질문 올려봅니다.
추가하자면 한글 입력은 상관없으며, 드보락만 설정된다면 한글 입력은 없어도 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