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에 젠투 깔았습니다. (사운드쪽 수정)

Necromancer의 이미지

제목 그대로 맥북에 깔았습니다. macosx + win7 + gentoo 조합
무난히 되면서도 골때리는 부분들이 있네요.

설치하면서 골치아픈 점 몇가지 적겠습니다.

참고로 젠투 설치한 맥북은 macbook pro 6.2 입니다. (작년 초 나온 core i5 사용모델)

1) EFI
기존 bios와 완전히 다른 넘인데다 맥의 EFI는 감춰진 부분이 너무 많음 -_-;

먼저 macosx 깐 후 부트캠프로 win7을 까는데, 이때 bootcamp에서 windows로 설정된 파티션에 바로 깔면 안됩니다. bootcamp에서 만든 윈도우 파티션을 지우고 win7 설치시에 파티션을 새로 만드세요. 그다음 그대로 설치하면 됩니다.

그리고 osx로 부팅해서 rEFIt를 설치하시고 맥 시작시 rEFIt가 항상 뜨도록 설정 합니다.

그 다음 젠투를 설치하는데 파티션 나눌때는 fdisk 대신 parted를 이용해서 GPT 파티션으로 만듦니다.
parted로 파티션 나눈 다음에는 GPT/MBR 동기화가 필요한데 이건 rEFIt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부팅해서 동기화 시킨 다음 설치작업 그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GPT/MBR 동기화라는 것은 GPT 파티션 테이블의 파티션 정보와 일반 pc에서 사용하는 MBR 파티션 정보를 일치시켜서 맥 EFI에서 보는 파티션 구조와 lilo 같은 부트로더가 인식하는 파티션을 똑같이 해서 부팅에 지장없도록 하기 위한 트릭이지요.

리눅스 설치할때는 반드시 /boot 를 커널만 담는 별도의 소형 파티션(한 100M 정도)으로 나누어서 ext2로 포맷하세요. 그래야 rEFIt가 인식합니다.
그리고 /boot는 1~4번 파티션에 있어야 합니다. GPT/MBR 동기화할때 GPT 4번까지는 MBR로 맞춰주는데 그 이후는 무시합니다. MBR파티션 은 4개까지밖에 기록 못합니다. (pc에서 사용하는 MBR파티션은 4개가 한계고, 그 이상 만들어지는 파티션은 이 4개 중 하나를 크게 잡아서 그 안에서 또 파티션을 나누는 확장 파티션 입니다. 불행히도 맥 EFI에서는 이 확장 파티션들을 알아볼 수 없지요.)

부트로더는 lilo를 설치하는데, MBR 설치가 아닌 /boot 파티션의 첫번째 섹터에 설치합니다.
완료되면 rEFIt -> lilo -> 리눅스 커널 순으로 부팅이 이루어 집니다.

EFI는 elilo에서 지원하는데 맥에서 이걸로 부팅하는 것은 해보질 못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이 없어서 -_-;

2) 터치패드
synaptics로 잡으면 되는데 주의하실 점이 하나 있습니다.

제가 쓰는 모델 이후의 맥북들은 터치패드 드라이버는 bcm5974입니다.
이거 모듈 올릴때 usbhid 모듈이 먼저 올라가 있으면 안됩니다. usbhid 모듈이 bcm5974보다 먼저 올라가면 bcm5974가 작동 안합니다. 어찌어찌 해서 마우스로 잡히면 쓸 수 있는데 무진장 불편합니다.
방법은 usbhid까지 모듈로 분리한 다음 부팅 스크립트에 아래와 같이 해서 bcm5974가 먼저 올라가도록 하는 것입니다.

rmmod usbhid
modprobe bcm5974
modprobe usbhid

맥북의 synaptics Xorg.conf 설정법은 구글링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3) 무선랜
브로드컴 bcm43xx 시리즈를 쓰는데, 제가 쓰는 맥북에는 bcm43224더군요.
lspci로 해서 아래와 같이 나오면 bcm43224입니다.

03:00.0 Network controller: Broadcom Corporation Device 4353 (rev 01)

이 드라이버 커널에서 지원하기는 하는데 Network Device에는 없고 Staging Drivers 에 있습니다.
초 극실험용 Experimental 드라이버들안 모아놓은 곳이죠 -_-;
이거 알아내는데 몇일 걸렸습니다.

이거 매우 불안정하긴 합니다. 쓰다보면 무선랜 끊기는 경우 간혹 있습니다.
iwconfig로 무선랜 지정해도 한번에 안되는 경우 종종 있고요.

브로드컴에서 만든 linux-sta 드라이버도 있는데 최신 커널에서는 아예 컴파일 자체가 안되더군요.
(저는 젠투 배포커널보다는 kernel.org의 바닐라 커널을 컴파일해서 쓰는걸 좋아합니다.)

***
[추가]
snd-hda-intel로 사운드 잘 납니다.
단, 내장 스피커 못쓰고 외부 오디오포트로 연결했을때 소리 납니다.
HD오디오 코덱칩 종류 알아보니까 Cirrus Logic CS4206A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만듦니다/만듭니다/g

오타라고 하기엔 너무 묘해서 지적질을...

snowall의 이미지

저는 A1181에 우분투 설치해서 썼었는데 별다른 삽질 없이 대체로 잘 작동했었네요.

불편해서 Fn키 바꾸는게 꽤나 삽질이었지만...;;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jachin의 이미지

저도 예전에 쓰던 노트북에 b43 모듈 까느라 고생했던 기억이...
linuxwireless.org는 아직도 운영되고 있네요.
ACPI랑 연동하느라 고생도 하고... 하아...
그나저나 3대 OS를 다 네이티브로 깔고 계시다니... 덜덜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