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주소체계가 (더 엄밀히는, 지금부터 할당되는 주소 체계가) 2011년2월4일부로 IPv6체계로 전환되었답니다~

innobeing의 이미지


2011년2월4일부로 인터넷주소체계가 (더 엄밀히는, 지금부터 할당되는 주소 체계가) IPv6체계로 전환되었답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남아있던 2개의 IPv4 주소가 할당되는 바람에, 2월4일부로 IPv4 잔여 주소가 완전히 고갈되었답니다. 고로, 자연스럽게 IPv6 주소체계로 전환되었다네요!

이제부터는, 인터넷 주소를 IPv6 주소체계로만 할당받을 수 있다네요~!

각종 검색엔진들에서 IPv6로 한번 검색해보시면 기사내용을 읽어보실 수 있을 겁니다.


파도의 이미지

立春大吉

--------Signature--------
시스니쳐 생각 중..

cleansugar의 이미지

그러고 보니 역사적 날이군요.

거의 앞으로 나올 대부분의 수많은 컴퓨터가 인터넷에 물리게 될 테니까요.

고갈될 리가 거의 없다던데요.

입춘대길은 좌우가 대칭이라서 문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똑같이 보입니다.

그래서 귀신이 들어갔다가 나오다가 하다가 날이 새서 도망간다고 하죠.

IPv6의 출구는 어디일까 궁금하군요.

과연 궁극의 주소체계일까요?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neocoin의 이미지

짧은 IPv4는 011 처럼 프리미엄 받고 팔수 있는 날이 오는건가요. ;;

y2k 처럼 그냥 조용하게 넘어가네요.

ipes4579의 이미지

생각지도 않았던 게 갑자기 터져버렸네요.
그럼 기존의 IPv4 로 쓰던 서버들은 강제로 IPv6로 바뀌게 되는 건가요?
아니면 지금까지 할당된 주소들은 그대로 유지해주고 새로 할당되는 것들만 IPv6를 사용하게 되는 건가요?
대충 위키페디아를 읽어보니 IPv6를 사용하면 속도도 빠르고 헤더도 가변길이라는데,
그럼 모든 서버는 무조건 IPv6로 바꾸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개념이 잘 안잡히네요.

bh의 이미지

IPv6 망이 안정화 될 때까지는..
듀얼스택(IPv4/IPv6 혼용)으로 갈거 같다고 예상하고있다네요..
빈서프(구글) 할아버지가요.. ;;

할아버지 기사:
http://www.pcmag.com/article2/0,2817,2379119,00.asp

--
이 아이디는 이제 쓰이지 않습니다.

Daiquiri의 이미지

IPv6를 사용하면 우선 길어요. :(
뭐 고갈돼서 할당 못 받는 것보단 낫습니다...

bh의 이미지

이리되면 스마트폰은 어찌 되나요?
ipv6 주소는 스마트폰이 거의다 소비할거 같은 예감이..

--
이 아이디는 이제 쓰이지 않습니다.

lacovnk의 이미지

http://kldp.org/node/52952 참고하세요.

지금 같은 스마트폰이라면 고갈시키기는 부족하겠군요.

bh의 이미지

스마트폰은.. PC 시장보다 더 크지 않나요? @@;;
IPv6 주소들을 어떻게 분배하는지는 모르겠는데..
전세게의 모든 스마트폰에다 하나의 주소를 할당해나가다 보면..
이놈도 10년안에 쫑날 수 있지 않을까요?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요즘 나오는 그냥 폰들도
거의 대부분 wi-fi 지원하고 지랄병 하더라구요..

하루에 만들어지고 그냥 몇달 안쓰고 버려지는 폰들을 보면은..

이 코멘트 보니깐 무섭네요;;
http://kldp.org/node/52952#comment-206655

--
이 아이디는 이제 쓰이지 않습니다.

lacovnk의 이미지

이론적으로는 어마어마한 개수입니다. 스마트폰은 별 문제 안될꺼고, 나노 머신이나 internet of things 정도 되야 그나마 걱정할 꺼리가 될 것 같습니다 :)

올려주신 코멘트에 있듯이, IP 주소 중 일부가 MAC address 변환값인데, 이 점도 좀 걱정됩니다. 당장 의외로 프라이버시 문제가 있을 수 있지요.

magingax의 이미지

128비트라고는 하지만 주소의 많은 부분이 계층구조를 나누는데 사용되고. 실제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주소는 2^128 의 13% 정도입니다.
뭐..쓰다보면 이것도 모자르겠죠.

LISP 사용자모임
http://cafe.naver.com/lisper
방송기술 개발업체
http://playhouseinc.co.kr

정상인의 이미지

13%라도 128비트의 자릿수는 무지막지한 양입니다.
누군가의 계산에 따르면 128비트 주소의 1%만 사용해도 지구상의 모든 물질을 1g씩 나눠서 ip를 할당해줘도 주소가 남는다고 합니다.

snowall의 이미지

지구 질량이 대략 6*10^27g이고, 2^128 ~ 10^40이니까, 그 1%는 대략 10^38정도 되겠네요.

자릿수가 10^10정도 차이나니까, 100피코그램씩 나눠서 IP를 할당해주면 딱 떨어질겁니다.

128비트 전체를 할당한다면 1피코그램씩 나눠주면 될 거구요.

과연 엄청나군요.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사랑천사의 이미지

KISA의 실전 적용 가이드인가 그걸 읽어 보니 WIFI 쪽은 많은 경우 IPv6을 지원하고 있지만, 3G 망 연결용 모뎀 들은 아직 지원되는게 별로 없다고 하더군요. 새 모뎀 펌웨어나 드라이버 뜰 때 까진 아마 3G 망에선 그냥 IPv4 쓰겠조. 거기다가 스마트 폰들 업그레이드 해야(적어도 OS나 펌웨어라도) 그 부분이 동작할 텐데 쉽게 못할 거 같네요 아직은.

그리고 32bit에서 64bit으로 늘어나는 것도 숫자 범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데 128bit 이니... 하하하. 별로 고갈될 일이 없을 것 같군요.

사람천사

innobeing의 이미지


아래 포스팅도 참고하십시요.

http://kldp.org/node/120698#comment-544970


김정균의 이미지

2월 4일 중단은 연구원의 결과이고요. 실제 중단 여부는 확실히 모르겠네요. 다만 kisa의 경우 "https://ip.kisa.or.kr/main.html" 를 보시면 국내는 아태지역 할당분으로 당분간 계속 할당가능하지만 2011년 2/4분기 정도까지 가능하지 않을까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단, IPv6로 IPv4로 접근이 불가능하며, 예전에 IDC와 이 문제로 언뜻 얘기했을 때는 NAT와 비슷한 개념으로 IPv6 <-> IPv4 를 연동할 것 같이 말하더군요. 이렇게 되면 IP base의 ACL에 대한 큰 혼란이 오게 될 수도 있겠죠. --;

제가 IP base로 하는 작업이 있는데, 회사의 Network part에서는 당장 크게 문제될 것이라고 생각지 않더군요. 왜 그런지는 아직 물어보지 않아서 ^^;

innobeing의 이미지


" 한국인터넷진흥원 IPv6 홈페이지 --- Vsix.kr "을 참고하십시요!
http://www.ngix.ne.kr or http://vsix.kr

http://www.ngix.ne.kr/jsp/measurement/measurement_07.jsp --- 한국인터넷진흥원 IPv6 포탈
--- IPv6 테스트서비스 개요

"(사)한국인터넷진흥협회"의 "IPv6 Forum Korea"도 참고하십시요!
http://www.ipv6.or.kr


* 아래의 PDF문서도 참고~
『분야별 차세대인터넷주소 실전적용서 주요내용 ( IPv6 )』(PDF format) --- "차세대인터넷주소(IPv6)실전적용서주요내용(1.25).pdf"

innobeing의 이미지


아래 자료도 참고하십시요~

http://win6.jp/memos/win-ipv6-status.pdf (dated Feb. 12, 2001) (by Jun-ya KATO, Waseda Univ., Japan)
--- IPv6 Implementation Status on Windows Platform ( MS Windows 95, Windows 98 / 98SE, Windows NT, Windows 2000, Whistler(Win XP), LINUX and BSD UNI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