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too Documentation Internationalization Committer 찾습니다.

Darkcircle의 이미지

문서를 공식적으로 번역하고 커밋을 해야 하려합니다. 번역하신 분들이 누구신진 알겠는데 커미터가 누구신지 모르겠더군요

젠투 빠른설치 가이드 번역자 분과 리눅스스터디 쪽으로 메일을 보냈는데
번역자 분은 너무 오래전의 일이고 번역만 하셨다고 하고 리눅스스터디 쪽은 아직 답신이 없더군요 ...
옛날에 젠투 사용자 모임에 번역 결과물을 올려놓으면 커미터께서 알아서 커밋해주시더라 하는 말들이 있는데
커밋 결과물이 두어갠가밖에 안 올라갔다는게 뭔가 좀 이상해보여더군요 (...)
그냥 .. 긍정적으로 .. 바쁘셨으니 그러실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은 해봅니다.

얼마전에 사랑천사님께서 gentoo.or.kr을 복원해주셨고 젠투 한국 사용자 모임이 재활성화 되고있는 상황에서
이제 우리도 러시아나 일본 같은데처럼 internationalization을 잘 좀 해야겠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 찾고 있습니다.

ddoman의 이미지

http://www.gentoo.org/proj/en/ 를 보면 젠투 커뮤니티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이 나와있고 각 프로젝트
설명과 등록된 개발자가 나와있습니다. 젠투리눅스 개발에 참여를 하고 싶으시면, 저 페이지에 나와있는
프로젝트에 참여를 하시면 됩니다.

그 중에서
http://www.gentoo.org/proj/en/gdp/index.xml
Gentoo Documentation Project가 있고,

그 서브 프로젝트로써

http://www.gentoo.org/proj/en/gdp/international.xml

Internationalisation 이라는 젠투리눅스 번역 프로젝트가 Darkcircle님이 찾으시는 프로젝트 같아보이네요.
아쉽게도 해당 페이지에 나와있듯이

현재 한국어 번역자는 존재하지 않으며, Recruitment section에 나와 있듯이
Joshua Saddler, Interanationalisation 프로젝트 리더, 에게 연락하시면 한국어 번역 개발자로 고용되실 수도 있습니다.

GDP 프로젝트 페이지에 관련 문서와 메일링 리스트 주소등 필요한 정보들이 친절하게 나와있으니
가이드대로 바로시작하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Darkcircle의 이미지

커미터가 있기 때문에 커미터를 찾는 것입니다.
커미터가 없으면 아무리 양질의 번역물을 내놓아도 커밋을 할 수 없기 때문이죠.
그리고 커미터와 번역자분들간의 연락이 안된지 꽤 오래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 메뉴얼의 내용을 요구한 것이 아니라 관련 업무를 수행했던 분을 찾는 것입니다.

---------------------------------------------------------------
폐인이 되자 (/ㅂ/)

ddoman의 이미지

Darkcircle wrote:
커미터가 있기 때문에 커미터를 찾는 것입니다.

프로젝트 페이지에 의하면 GDP에 한국어 담당 커미터는 존재하지 않는데, 커미터를 찾고 계시길래
해당 페이지를 방문해보신적 없는 줄 알고 드린 말씀이었습니다. 제가 질문의 요지를 잘못 파악했나보네요.

어쨋든, 과거에 어떤분이 담당 하신적이 있었었더라도, 그분은 더이상 커미터가 아닐거라는것이 제 생각입니다.
번역자들을 관리하는 페이지에 등록도 안되어 있으며, http://www.gentoo.org/doc/ko 에 번역된 한글 문서는 "Gentoo Linux x86 빠른 설치 가이드"
가 유일한데, 그것 마저도 2005년이 마지막 업데이트네요.

과거에 한국어 번역 커미터가 설령 존재했었더라도 아직도 그 커미터 권한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는지는 저도 궁금하네요.

번역글을 젠투 커뮤니티에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굳이 공식 번역자(문서를 올리는 커밋 권한을 가지게 될테니 커미터로 불러도 되겠죠)로 등록되지 않아도
문서 번역에 참여할 방법이 없어보이지는 않네요.

GDP의 "Translators Howto" 의 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는걸 보면
http://www.gentoo.org/proj/en/gdp/doc/translators-howto.xml

Quote:

Requesting Lead Translator / Translator Follow-Up status
Preliminary Requirements
... Lead Translator and Translator Follow-Up must be met ... the candidate (with co-operation of his translation team if applicable) must submit a considerable amount of translated documents to Gentoo's Bugtracking System....

공식 번역자가 아니더라도, Gentoo's Bugtracking system에 번역 문서를 올릴수 있나보네요.
그리고 그런 방식으로 많이 올려서, 기여를 인정 받아야 해당 언어 공식 번역자로 등록되어 커밋권한을 부여받는 절차인것 같습니다.

P.S:
얼마전 젠투 개발에 도움이 될 부분이 있을까 싶어서, 젠투 프로젝트들을 훝어 본적이 있었는데
그 때 GDP 페이지를 보면서 한국어 문서 담당자는 아예 없구나...했었습니다.
저는 젠투 한글화에 여태 기여 해 본경험은 전혀 없지만, Darkcircle님이 관련 정보를 찾으시길래, 혹시나 제가 봤던 프로젝트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될까 해서 글을 올려봤습니다. 알고 계셨던 내용이면...;;;;;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