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레드햇)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제작시 네트워크 설정 질문입니다.
여차여차 관계로 병렬제작을 하게되었습니다.
현재 실험실에 보유중인 장비가
마스터 노드 1대와 계산 노드 2로 허브스위치 2대 마스터뷰(사실 이건 뭐..)
이것저것 셋팅을 마친 상태입니다.
rsh 설정이 되질 않아 스킵하고 ssh 설정을 하게되었습니다.
mpich 를 설정하고 실행하려는 순간 다른 노드에 계산시 rsh로 접속한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질문 혹시 mpich 실행시 rsh가 아닌 ssh 로 실행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검색결과 -rsh=ssh 라고 컴파일 해주면 된다고 하는데 자세히 설명 좀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카드랑 허브스위치 밑 노드간 케이블 연결 하는것 질문 드리겠습니다.
현재 마스터 노드마다 랜선이 3개 꽂을 수 있는 곳이 있더군요
ㅁ
ㅁ
ㅁ
이렇게 말이죠. 제일 밑에 있는 곳이 랜카드장착한 곳에있는 것인데 여기다 케이블을
연결하여 1번 허브스위치에 연결 하였구요,
첫번째와 두번째는 컴퓨터에 기본적으로 달려있는 랜카드인가요?
각노드의 첫번째 구멍에 랜카드를 꽂아서 2번 허브스위치에 연결하였습니다.
그리고 따로 마스터 노드 두번째 구멍에 랜선을 외부와 연결 하였구요.
설정 방법이 맞는지 여쭙겠습니다.
/sbin/route/결과 마스터는 ifcfg가 0~2까지 계산 노드는 0~1까지 입니다.
마스터 노드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20.0 * 255.255.255.0 U 0 0 0 eth1
220.149.235.0 *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2
169.254.0.0 * 255.255.0.0 U 0 0 0 eth2
default 220.149.235.254 0.0.0.0 UG 0 0 0 eth0
노드1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20.0 * 255.255.255.0 U 0 0 0 eth1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2
169.254.0.0 * 255.255.0.0 U 0 0 0 eth1
노드2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20.0 * 255.255.255.0 U 0 0 0 eth0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2
169.254.0.0 * 255.255.0.0 U 0 0 0 eth2
[root@cl2 etc]# rsh n1
connect to address 192.168.20.11: No route to host
Trying krb4 rlogin...
connect to address 192.168.20.11: No route to host
trying normal rlogin (/usr/bin/rlogin)
n1.hpc: No route to host
이렇게 나오는 군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