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생각 1,2

트비터의 이미지

1.오늘 새벽1시 11분 11초 경에 생각해 봤는데,영어 단어 책의 뜻은 저작물이 아니라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하므로, 5년 이상 지난 단어책의 단어와 뜻을 원래 순서대로 정렬해서 무료로 배포하는게 어떨까요.

2.오늘 아침 11시 11분 11초에 생각해 봤는데,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의 노트의 저작권을 매입하여 인터넷에 카피레프트로 공개하면 학생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상의 일을 하는프로젝트를 만들면, 카피렠프트로 학생들의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트비터의 이미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

학원에서 보면 수학올림피아드는 고등학교때 문제 풀이가지고 문제내는 선생님도 계시고, 수능 처음 만점맞은 사람이 노트를 책으로 내기도 했는데 괜찮은 것 같습니다. 1번의 무료 단어장 프로젝트는 제가 봐도 훌륭하군요.

snowall의 이미지

공부 잘하는 학생의 노트를 공개하면 모든 학생의 실력이 올라가므로 시험문제는 더 어려워집니다.

군비경쟁은 함부로 하면 안되요 -_-;

--------------------------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snowall.tistory.com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winner의 이미지

사실 저도 그렁 방식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은 있는데, 교수들이 싫어할 것 같더라고요.
숙제 및 시험문제 낼 때 고민해야 하니까.

트비터의 이미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 법적인 문제점을 검토해 봐야 하는데, 별 문제는 안될 겁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저도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에 사전이 필요해서 공개 사전이 너무 아쉽습니다.

낱말 뜻 서술 부분에 저작권이 있는 것 같습니다.

노트 공개 프로젝트는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노트 말고 시험 족보 공개 사이트도 대학 때 만들고 싶었는데 저작권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1990년대 후반에 생겼습니다.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트비터의 이미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

단어장에서 해설이나 예문을 빼고 뜻과 단어만 하면 데이터베이스가 됩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아 다르군요.

저도 마침 필요해서 포털에서 스크립트로 뽑고 싶은데 순서대로 전부 뽑을 방법을 모르겠더라고요.

어떻게 하면 단어장을 뽑아올 수 있을까요?

국립국어원에서 세금으로 만들었으니까 그냥 공개했으면 좋겠어요.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트비터의 이미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

저는 수작업으로 영어단어 및 숙어를 긁을 생각입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참으세요.

똑똑한 분이 그러면 시간낭비입니다.

여기 보니까 색인이 있습니다.

이거 긁으면 될 듯 합니다.

http://krdic.naver.com/list.nhn?kind=all

전에 알아봤을 때는 다음, 네이트는 색인이 없었니다.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트비터의 이미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

영한사전도 위험하고, 단어장이라는 것은 말그대로 단어와 뜻, 그리고 예문등이 있는 책(또는 책의 일부)부분입니다. 그 중에서 단어와 뜻은 데이터베이스지만, 국어사전같이 해설이 있는 부분을 가져오면 일반 저작물이 되어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어떤 영어책을 공부하는데, 거기 있는 숙어집을 우선 가져오려고 합니다. 그리고 다른 단어집이 있는 다른 책들은 5년이 안되서 데이터베이스 저작권이 소멸하지 않은 것도 있어서 우선 배제하고 진행하는데, 수천개의 단어가 있는 단어집은 시간이 아까우니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제가 그 데이터베이스를추출해서 학습하는것이 저한테 도움이 되는 것만 우선 해보려고 합니다.

트비터의 이미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

http://endic2009.naver.com/list_idiom.nhn 는 데이터 베이스로 볼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정확한 갱신 시점을 알 수는 없지만 말이죠.

트비터의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