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을 몰라도 블럭 맞추기 식으로 안드로이드 개발

cleansugar의 이미지

http://appinventor.googlelabs.com/about/

앱인벤터란 게 나왔습니다.

Open Blocks라는 비주얼 언어를 지원하는 자바 라이브러리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엠아이티의 논문에서 시작했다고 하네요.

http://scratch.mit.edu/ 란 언어가 사촌입니다.

사랑천사의 이미지

저런 기술이 특정 분야에 국한되는게 아니라... 범용화 되면 저같은 졸작 코더는 물어나야 겠군요. 어차피 코딩하는걸 주된 일이나 공부로 생각하진 않지만... 그래도 이제 저같은 사람이 설 자리는 없어지는 거군요.
정말 뛰어난 프로그래머가 아니라면 왼만한건 그냥 대충 만들어서들 쓰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범용화 된다면요.
-- 이여송 --
HomePage: http://lys.lecl.net/
Blog: http://www.lecl.net/lablog
LECL: http://www.lecl.net/
E-Mail: yeosong@gmail.com ysnglee2000@lecl.net
MSN: ysnglee2000@hotmail.com

사람천사

snowall의 이미지

아마 그때도 웬만한건 어딘가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쓸것 같은데요...-_-;

불법이든 합법이든...

--------------------------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snowall.tistory.com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사랑천사의 이미지

어쩌면... 그럴 수도 있겠조. 그런데 로봇 프로그램 만드는 도구 중에 저런 식으로 블럭 조립하듯이 해서 만드는 것을 본 거 같습니다. 상당히 기초적이긴 했습니다만...
일단 블럭과 그런걸 조립하고 블럭별로 필요한 부분들을 손봐주고 나서 이것을 저장하게 되면 흔히 알고리즘에서 보는 의미 코드 식으로 변환이 되더군요.(파일의 내용이 그랬다는 거조.) 그 뒤에 컴파일을 시키면 로봇에 전송할 바이너리가 나왔습니다. 로봇이 어떤 CPU를 쓰는진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시리얼로 연결한 다음에 전송 명령을 내려 주면 프로그램이 로봇에 저장됩니다. 로봇을 가동시키면 프로그램 대로 움직였조. 안타까운 것은, 상당히 기초적인 거 밖에 못 만든다는 거였습니다.

그리고 이 녀석은 Windows 전용/상용 이었습니다.
-- 이여송 --
HomePage: http://lys.lecl.net/
Blog: http://www.lecl.net/lablog
LECL: http://www.lecl.net/
E-Mail: yeosong@gmail.com ysnglee2000@lecl.net
MSN: ysnglee2000@hotmail.com

사람천사

JuEUS-U의 이미지

레고 마인드 스톰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근데 딸려오는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좀 기초적이라서 10만원 뽕뽑기가 좀 벅찹니다. (예전에 10만원... 요즘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보통 인터넷에 올라오는 작품들(?)은 NQC(Not Quite C)라는 언어를 사용해서 코딩합니다.

hexagon의 이미지

labview라는 범용 툴이 있긴합니다만... 실상은 범용적으로 쓰이지는 않고 실험실 환경에서 제어(Control)/계측(DAQ) 소프트웨어개발에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언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저같이 어설프게 알고있는 경우는 참...그것도 지랄 맞더라고요...

while,for,case 구조같은 제어문은 박스 형태로 처리되고, 연산자는 블록으로 처리하고 데이터 흐름은 와이어로 처리하는 특이한 구조다 보니...

1+1계산하는 것도 그냥 몇줄 쓰면될것을..블록올리고...상수나 컨트롤올리고 덧셈연산블록올리고 결과 보여줄 인디케이터 올리고... 할일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와이어가 복잡해지면 디버깅도 만만치않고, 일일이 블록 펑션 찾는것도 오래걸리고 생산성 자체가 좋다기 보단 그냥 쉽게 배울수있다...정도랄까요...

이녀석은 윈도우용, 유닉스용으로 존재하지만 matlab 스크립트 연동기능은 윈도우에서만 된다네요.. matlab도 유닉스용은 있는데...연동 기술이 자그마치 activeX 기반이라..-_-

사랑천사의 이미지

끄응... ActiveX...
순간 할 말을 잃은...
아무튼 그런 거군요. 그런 류의 도구들이 여러 가지가 있었나 보네요...
-- 이여송 --
HomePage: http://lys.lecl.net/
Blog: http://www.lecl.net/lablog
LECL: http://www.lecl.net/
E-Mail: yeosong@gmail.com ysnglee2000@lecl.net
MSN: ysnglee2000@hotmail.com

사람천사

ifree의 이미지

3D 툴인 소프트이미지나 후디니에 보면,
저런 식으로 노드를 연결해서 여러가지 프로그램 로직을 만들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하는 입장에서 보면 훨씬 번거롭지만, 일반 유저가 사용하기는 좋은 듯 하네요.

sblade의 이미지

Hal Abelson (SICP 저자, MIT 교수) 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