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위키와 위키 문법이 호환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트비터의 이미지

미디어 위키 대신에 직접 텍스트 파일을 위키 문법으로 작성하고, 파일은 별도의 지정된 폴더에 붙여넣는 방식으로 하면, 그 텍스트 파일을 미디어 위키에 올라온 문서처럼 읽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 있다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리눅스라는 제목으로 아래와 같은 문서를 만든다고 합시다.

[[파일:Tux.svg|리눅스의 마스코트]]

'''리눅스'''(Linux)는 [[컴퓨터 운영 체제]]이며, 그 [[커널]]을 뜻하기도 한다.

라면, 이 문서는 리눅스.txt에 저장되며,

미디어 위키 문법과 동일하게 나타내며, [[컴퓨터 운영 체제]]를 클릭하면 컴퓨터 운영 체제.txt의 내용을 보여주는 겁니다. 제 생각에 언더바를 뒤에 붙이면 역사도 나타낼 수 있을것 같습니다. 만약 내가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문서를 편집한다고 합시다. 리눅스 문서의 처음 판 본은 리눅스_0.txt 에 저장되게 되고, 편집된 문서는 리눅스_1.txt에, 이런 식으로 저장되는 방식입니다. 문서 역사도 각각의 문서 뒤에 태그를 만들어 그 안에 넣거나, 리눅스_history.txt 문서에 저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점이 있는데, 윈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명과 미디어 위키의 문서명중 사용 가능한 것이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윈도에서는 :,\.|,/,".*.?,<,>을 사용할 수 없지요.

이동중에 지하철에서 미디어위키 문서를 만들기 위해 메모장에 치면서 작업하느라 고생해 보다가 생각해 봅니다. 성공만 한다면 개인위키로 유용하게 쓸 수 있을것 같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http://en.wikipedia.org/wiki/WikidPad
http://en.wikipedia.org/wiki/Personal_wiki

로컬에서는 로컬용 위키를 쓰는 수 밖에 없습니다.

파일의 변경 이력은 서브버전같은 버전관리 프로그램을 임시로 쓰는 수 밖에 없네요.

파일시스템 중에는 버전 관리를 지원하는 게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엠에스 워드에도 변경 이력 추적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저는 위키문법을 쓰기 보다는 위지위그로 가는 것이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트비터의 이미지

파일을 별도 폴더에 넣고 그림 출력이 되는게 중요합니다. 틀도 마찬가지.

한국어
위키책

CCCP
트윗1
트윗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