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를 쓸것인가 2000을 쓸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헛소리맨 이번주 토요일이나 다음주 월요일이면 새로 산 똥통 컴퓨터가 도
착합니다. 파티션중에 3Gb는 리눅이를 깔생각이구 2Gb는 CD-R이 없는 관계
로 데이터백업용으로 쓸계획입니다. 나머지 25Gb를 뭘쓸까 생각중입니다.

포토샵과 3D Studio Max랑 VC++ 6.0이랑 게임 조금이랑 굴릴생각인데...

2000을 쓸지 ME를 쓸지 모르겠습니다. ^^;

윈도우는 4월에 떠나서리 ME가 어떻게 생겨먹은지도 모르고 무슨 장점이
있는 지도 몰라서리...

흠...

죽겠넹...

To be continued...

어쩔까... 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ME RTM1을 받아서 써본결과...
익스 5.5에서 자주 에러가 발생합니다.
그건 익스 5.5 정식버젼을 깔면 괸찮아 지구요...
ME는 부팅속도 하난 엄청 빨라 졌습니다.
한달쯤 잘쓰다가, 천리안2000 브라우져가 안돌아가는것에 앙심을 품고
어퍼버렸습니다.

윈2000서버 정품을 사서 돌려본결과, 램이128이라 그런지
하드를 엄청 긁더군요...
램이 한 256만 되도 윈2000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프로페셔널)

하드가 빵빵하다면 윈2000, 윈ME, 리눅스, FreeBSD를
멀티로 해보고 싶지만...
거의 불가능 하죠... 하드도 부족하거니와 실력도 딸려서...

그럼 수고하셍~

----------
헛소리맨 wrote..
헛소리맨 이번주 토요일이나 다음주 월요일이면 새로 산 똥통 컴퓨터가 도
착합니다. 파티션중에 3Gb는 리눅이를 깔생각이구 2Gb는 CD-R이 없는 관계
로 데이터백업용으로 쓸계획입니다. 나머지 25Gb를 뭘쓸까 생각중입니다.

포토샵과 3D Studio Max랑 VC++ 6.0이랑 게임 조금이랑 굴릴생각인데...

2000을 쓸지 ME를 쓸지 모르겠습니다. ^^;

윈도우는 4월에 떠나서리 ME가 어떻게 생겨먹은지도 모르고 무슨 장점이
있는 지도 몰라서리...

흠...

죽겠넹...

To be continued...

어쩔까... 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흠... 이번에 대충 제 생각에는 하드가 넉넉하니까 한번 해보고는 싶습니
다.
리눅이와 윈도우와의 동거까지는 확실한데...

된다면 프비도 한번 해보고 싶네요..

To be continued...

리눅이는 데뱐과 레드햇을 한번..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전 Buslogic BT-930이라는 스카시 콘트롤러를 쓰는데요.
이게 Windows 2000(ME말구)에서 ASPI 가 지원이 안돼서
엄청 고생하구 있습네당.. (NT 4.0까지는 어거지로 된답니다..흐)

Adaptec의 ASPI 프로그램을 받아서 해 봤는데,
어느 정도까지만 지원되고, 완벽하게 되지 않아서
2940U 로 바꾸든지 아니면 98로 컴백하든지
둘 중에 하나로 가려고 고민중입니다.

혹시 스카시를 쓰시고 컨트롤러가 Adaptec이 아니면
참고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음.. 저의 경우는... ME베타(정식은 아직) 하구 윈2000을 써봤지만

혹시 2000을 버젼(?)별로 설치해보신분은 알겠지만 이상하게도 프로보다

서버가 빠릅니다. 액티브 디렉토리만 설치 않하시믄요. 이거 설치하면

프로만큼 느려집니다. 참고로 P-PRO 200, 64M에 설치 해봤습니다.

그냥 클라이언트로 쓰실거라면 베타3도 좋습니다. P2급 이하에선 권장

해드립니다. RC2는 거의 정식 프로수준이라 별루구요. 베타3가 오히려

성능도 거의 차이 없구 속도도 빠릅니다. 물론 약간의 버그는 존재하지만

그리고 ME의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7이 버그가 많더군요. 드라이버문제도

2000 같은경우 어느정도 해결되지만 ME는 지원하는 드라이버가 많지않아

요 98용거 깔았다가 에러가..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