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만든 어플리케이션이 정말 그럴듯해졌을경우

system77의 이미지

우리나라에서 내가 만든 어플과 같은 기능의 어플로 사업하는

업체가 두세업체 정도가 독식하고 있고 제법 규모가 있는 업체들이다.

1. 개발한 어플로 경험도 없고 자본도 없지만 사업을 해본다.
2. 개발한 어플을 사줄 업체를 찾는다.
3. 개발자로써 보람과 네임벨류를 높이기 위해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여러분의 선택은 어떤가요?

36311의 이미지

미국에서 사업요.

* 포럼 주제와 무관한 신변잡기를 반복해서 올리지 맙시다.
* 질문 게시판 만이라도 익명 글쓰기를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pokev25의 이미지

3번이요

johan의 이미지

1&3 dual license

magingax의 이미지

...

LISP 사용자모임
http://cafe.naver.com/lisper
방송기술 개발업체
http://playhouseinc.co.kr

나그네나그네의 이미지

정말 잘 키울 자신 있을 때 라이센스로 1 + 3
무리면 2

nrabbit의 이미지

오픈소스로 만든 다음에 잘 되면 상용 라이센스 버전도 만들거나 지원 서비스를 통해 수익 창출하는게 좋을것 같네요. 괜히 사업했다가 망하거나, 다른 업체에 넘겼다고 대박나면 배아프니까요~ㅇ-ㅇa

-----------------------------------------------
Think Different~!

system77의 이미지

오픈소스로 상업화 시킨 너무 유명한 프로잭트가 많긴 하지만...

그런것들을 제외하고 오픈소스로 비지니스에서 성공한 케이스가 어떤것이 있을까요?

범위를 좁힌다면 국내 케이스가 있을까요?

sql2의 이미지

3번. 오픈소스를 준비한다.
( 이때 실행가능한 바이너리를 먼저 오픈한다. )

3-1번 엔젤들에게 연락올 때까지 기다린다.
( 경쟁업체의 협박 또는 회유가 먼저 올수도..^^; )

송효진의 이미지

4. 부담없이 기능제한 shareware 로 풀고 사태를 관망한다.

5. 1만원짜리 웹호스팅에 paypal 달고 판매를 해 본다.

emerge money
http://wiki.kldp.org/wiki.php/GentooInstallSimple - 명령어도 몇 개 안돼요~
http://xenosi.de/

hongminhee의 이미지

저라면 3번으로 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요즘 일반적인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을 팔아서 돈버는 게 쉽나요?

홍민희 (VLAAH, LangDev)

system77의 이미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솔루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