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 cifs mount (samba) 환경에서 이미지가 표시 안될때
보통 개발환경을 위해 가상머신을 설치하여 게스트머신에 리눅스 서버를 구축한 후 호스트 머신의
공유폴더를 마운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php나 html같은 text파일은 잘 표시가 되는데 이미지 파일은 표시가 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경우에는 httpd.conf 파일에서
#EnableSendfile off
의 주석을 삭제하고 데몬을 재시작 하면 된다.
#EnableSendfile off 였을때 이미지 파일에 접근시 error.log 의 내용
[Wed Aug 05 21:46:47 2009] [info] [client 192.168.0.24] (75)Value too large for defined data type: core_output_filter: writing data to the network
[Wed Aug 05 21:46:50 2009] [info] [client 192.168.0.24] (75)Value too large for defined data type: core_output_filter: writing data to the network
[Wed Aug 05 21:46:53 2009] [info] [client 192.168.0.24] (75)Value too large for defined data type: core_output_filter: writing data to the network
참고로 Apache 로그의 기본 레벨은 warn이다. 위에서 보면 알겠지만 더 상위 레벨인 info 레벨이다.
아파치 설정에 보면 다음과 같이 순서가 되어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시에는 info 또는 debug 레벨로 높여서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 LogLevel: Control the number of messages logged to the error_log.
# Possible values include: debug, info, notice, warn, error, crit, alert, emerg.
#
LogLevel debug
참고자료
Apache, CIFS and Blank Documents
http://www.cultofgary.com/2008/02/08/apache-cifs-and-blank-documents/
Re: [users@httpd] Apache 2.2 seems to have problems with CIFS mounted filesystems
http://www.techlists.org/archives/web/apache-users/2006-02/msg00482.shtml
아파치 로그 레벨
http://httpd.apache.org/docs/2.2/mod/core.html#loglevel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