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MemoryMapping 함수정리
Memory Mapping
Init Day 4 May 2009
Write by 최소영
1. 구현방식
파일데이터를 메모리상에 올려두고 여러 프로세스가 접근하여 차례대로 쓰고 지울 수 있는 구조. Winapi 함수를 사용하고 있음.
2. 사용API
windows.h
3. 사용함수
HANDLE CreateFileMapping(
__in HANDLE hFile,
__in LPSECURITY_ATTRIBUTES lpAttributes,
__in DWORD flProtect,
__in DWORD dwMaximumSizeHigh,
__in DWORD dwMaximumSizeLow,
__in LPCTSTR lpName );
첫번째 인자 : 맵핑 대상파일 핸들(create file 핸들 / 0xFFFFFFFF)
두번째 인자 : 보안정보 구조체
세번째 인자 : 엑세스 타입 지정(PAGE_READONLY / PAGE_READWRITE /PAGE_WRITECOPY )
네번째 인자 : 맵핑 오브젝트의 최대 크기 지정
다섯번째 인자 : “
여섯번째 인자 : 맵핑 객체의 이름(여러 프로세스가 맵파일을 공동 접근할 때)
사용 : 메모리 상에 파일 업로드
LPVOID WINAPI MapViewOfFile(
__in HANDLE hFileMappingObject,
__in DWORD dwDesiredAccess,
__in DWORD dwFileOffsetHigh,
__in DWORD dwFileOffsetLow,
__in SIZE_T dwNumberOfBytesToMap );
첫번째 인자 : 맵핑파일 핸들
두번째 인자 : 엑세스 지정
세번째 인자 : 맵핑을 시작할 오프셋 위치
네번째 인자 : “
다섯번째 인자 : 맵핑할 뷰의 크기
사용 : 맵핑 메모리의 위치주소 를 참조한다.
HANDLE OpenFileMapping(
__in DWORD dwDesiredAccess,
__in BOOL bInheritHandle,
__in LPCTSTR lpName );
첫번째 인자 : 엑세스 지정
두번째 인자 : 상속핸들의 여부(True / False)
세번째 인자 : 맵핑 객체의 이름
사용 : 맵핑된 파일에 접근
BOOL UnmapViewOfFile(
__in LPCVOID lpBaseAddress );
첫번째 인자 : 뷰 ID (뷰의 시작번지)
사용 : 메모리 위치주소 참조를 종료시킨다.
Epilogue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IPC기법 중 하나이다. 메모리 상에 파일의 내용을 올려두고 여러 프로세스 가 참조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원래 메모리 주소가 나뉘어 있어 프로세스간의 메시지를 통한 접근 및 수정이 불가능 하다. 하지만 파일맵을 이용하여 메모리상에 자신의 참조 주소를 올려두면 이것을 통해 다른 프로세스에 접근을 하여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상에 올릴 수 있는 그 파일의 크기가 어마어마 하다. 16GG(기가기가)바이트 이다. 16EB(엑사바이트) 라고도 하는데, 이는 64비트(상위 32비트 + 하위 32비트) 로 처리를 하기 때문에다. 이렇게 큰 파일을 간편하게 메모리에 올려서 빠르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이 사용되는 IPC기법으로 칭송 받고 있는 듯 하다.
첨부 | 파일 크기 |
---|---|
![]() | 36 KB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