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를 이용한 Network 프로그램 함수 정리
TCP Protocol
제작일 : 29 April 2009
제작자 : 최소영
1. 구현방식
네트워크 통신 기법중 1:1 연결지향적 기법으로 양단의 최종사용자끼리 서로의 연결을 유지한 체 정보를 주고받는 기법이다. 서로의 주소 및 포트번호를 알고 있어야 접속이 가능하며, 접속한 상태에서 모든 자료형을 char* 형식으로 cast만 해준다면 모든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다.
2. 사용API
Winsock2.h
ws2_32.lib
3. 사용함수
int WSAStartup(
__in WORD wVersionRequested,
__out LPWSADATA lpWSAData );
첫번째 인자 : 윈속의 버전을 표현한다.( MAKEWORD(LOW,HI) )
두번째 인자 : 초기화할 윈속
사용 : 소켓프로그래밍의 시작으로 소켓의 사용을 공시 하면서 초기화 한다.
SOCKET socket(
__in int af,
__in int type,
__in int protocol );
첫번째 인자 : 주소체계 정의. (AF_INET 인터넷 프로토콜(TCP/UDP) )…ws2def.h 참조
두번째 인자 : 소켓종류 정의 (SOCKET_STREAM / SOCKET_DGRAM) 연속적 연결 / 비 연결
세번째 인자 : 프로토콜 정의 (TCP / UDP / 0) 0 은 무시한다는 의미.
사용 : 소켓을 정의 해준다. 외부와 연결을 하기 위한 통로를 열어준다.
Int bind(
__in SOCKET s,
__in const SOCKADDR *name,
__in int namelen);
첫번째 인자 : 소켓ID
두번째 인자 : 소켓주소 (주소타입, IP, port 등을 기록해둔 구조체)
세번째 인자 : 소켓주소의 길이값 ( sizeof(name) )
사용 : 소켓을 서버의 커널 메모리상에 등록하여 외부에서 접근시 비교의 기준이 된다.
int listen(
__in SOCKET s,
__in int backlog );
첫번째 인자 : 소켓ID
두번째 인자 : 대기큐 의 최대크기( 최대 허용 접속자 수)
사용 : 커널에 대기큐를 만들어 접속자의 순서에 맞춰 서버로의 접속을 제어 한다.
SOCKET accept(
__in SOCKET s,
__out struct sockaddr* addr,
__in_out int* addrlen );
첫번째 인자 : 소켓 ID
두번째 인자 : 접속자 주소정보
세번째 인자 : 접속자 주소정보의 크기( 크기를 담은 변수의 주소값)
사용 : 커널의 대기큐 에서 접속자 정보를 하나 가져와서 메모리상(bind)의 주소와 접속자의 정보를 비교하여 접속을 제어한다.
int connect(
__in SOCKET s,
__in const struct sockaddr* name,
__in int namelen );
첫번째 인자 : 소켓ID
두번째 인자 : 주소정보(접속할 서버의 IP 및 port번호를 기록 SOCKADDR_IN 구조체 이용)
세번째 인자 : 주소정보 크기( sizeof(namelen) )
사용 : 서버에 접속을 하고자 할 때 소켓ID 형태로 sockaddr 의 주소값 으로 접속
int send(
__in SOCKET s,
__in const char* buf,
__in int len,
__in int flags );
첫번째 인자 : 소켓ID
두번째 인자 : 전달할 버퍼
세번째 인자 : 버퍼의 크기
네번째 인자 : 통신채널 지정 flag (0 / MSG_OOB) 0은 일반,MSG_OOB는 긴급데이터 채널로 송신
사용 : 소켓ID에게 전달할 내용을 소켓내부의 전송버퍼에 옮겨 담아서 flag 채널로 전송
int recv(
__in SOCKET s,
__out char* buf,
__in int len,
__in int flags );
첫번째 인자 : 소켓ID
두번째 인자 : 전달할 버퍼
세번째 인자 : 버퍼의 크기
네번째 인자 : 통신채널 지정 flag(0 / MSG_OOB / MSG_PEEK) 0은 일반,MSG_OOB는 긴급채널,MSG_PEEK 는 소켓버퍼에서 수신버퍼 로 자료를 넘기고 소켓버퍼의 내용을 삭제하지 않는다.
사용 : 소켓ID 에게 전달받은 내용을 소켓내부 버퍼로 옮겨 담는다.
Epilogue.
TCP 통신프로그램은 1:1 (unicast) 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서버의 다중접속 쓰레드 를 이용한다면, 여러명 의 접속자 를 동시에 접속 제어를 할 수 있다. 1:1 관계의 추가개념인 것 이다. 또한 recv()에서 네번째 인자를 통해 긴급메시지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필터링 을 할 수 도있다.
첨부 | 파일 크기 |
---|---|
![]() | 41.5 KB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