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 알파벳으로 상형문자 만들기
프로그래밍과 좀 관련은 없는 내용이지만 흥미있을 것 같아 내용을 올려봅니다.
저는 지금 알파티콘(alphaticon)이라는 언어를 만들고 있습니다.
* http://cafe.naver.com/
알파벳으로 만들어진 상형문자를 언어라고 할수있는데 예를 들어 'CV' 라는 단어는'그리다'라는 의미가 되지요.
풀이를 하면 V는 펜을 의미하며 C는 펜으로 그리는 곡선을 의미합니다.
단어가 만들어 지는 방식은 다음 페이지를 보시면 잘 이해가 될 겁니다.
* http://cafe.naver.com/apcon/60
* http://cafe.naver.com/apcon/32
알파티콘이라는 이름은 알파벳과 이모티콘을 합성한 단어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일종의 알파벳으로 만든 이모티콘이라 할 수 있는데 알파벳과 이모티콘을 함께 사용하여 보다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들어 갈 예정입니다. 간단한 문장도 만들수 있는데 문장을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이 등호 다음에 동사를 넣고 목적어 앞에 $ 기호를 사용합니다.
예문)
{{{
AX =Cc $KB ; ( 너는 과일을 먹는다.)
=I=YX $AX :-H ; ( 반갑습니다. )
AT=
}}}
처음에는 재미있을 것 같더니 복잡한 문법과 단어의 양이 늘면서 점차 회원들의 참여가 저조해지는 중이지만 명확한 장점이 있기에 계속적으로 개선해갈 것입니다.
혹시 두 개 알파벳으로 만들 수 있는 생각나는 재미있는 단어가 있나요?
=를 주격 조사로
=를 주격 조사로 두고, $를 목적격 조사로 둔다면, 한국어와는 단어 치환 수준에서 호환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한국어랑 차별이 되는 뚜렷한 문법적 특징이 있나요?
--------------------------
snowall의 블로그입니다.
http://snowall.tistory.com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수동형의 문장과 수식구의 형태가 다릅니다.
[*] 알파티콘의 간략한 문법 정리
알파티콘에서는 문장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서로 문장의 성분들이 배치됩니다.
위 예문에서도 보듯이 동사 Cc 앞에는 (=)등호가 오고 목적어 Wh 앞에는 ($) 달러기호가 옵니다. $ 은 목적어지시자가 되고 = 는 서술어지시자가 됩니다.
따라서 알파티콘은 동사와 목적어가 순서가 바뀌더라도 기호로 구분이 됩니다. 즉 다음과 같이 도치된 문장을 허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서술어와 목적어의 위치가 바뀌며 주어의 위치는 고정적입니다.
문장은 과거, 현재, 미래를 표현할 수 있는데 앞 예제에서 보듯이 현재 시제는 동사 앞에 '=' 으로 표현합니다.만약 과거를 나타낸다면 '=<' 으로 역방향 꺽쇠를 등호와 함께 사용하였습니다. 미래는 순방향 꺽쇠를 사용하면 됩니다.
세 번째 예( =<< )처럼 등호(=)뒤에 꺽쇠가 중복된다면 보다 이전 시점의 과거를 의미합니다. ( 미래시제도 마찬가지 방식 , 완료형는 사용하지 않음. )
만약 진행을 표기하려면 두 개의 등호를 사용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보면 한국어의 조사를 꺼꾸로 앞으로 옮긴 것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수식구와 수동태에서는 자연어의 경우와 상당히 다른 문법 특징을 보이게 됩니다.
수동태라고 해서 한국어처럼 용언 어미가 변화되거나 영어의 [ Be + 과거분사 ]형태처럼 동사부분을 변형을 하지 않고 @,^ 라는 두 개의 기호를 사용하여 문장내에서 단어들을 재배치 합니다.
t.CJ =< Cc $Wh ;
문장의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를 만들면 다음과 같이 만들어 집니다.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을 기준으로 좌측은 주어이며 우측은 원래의 문장에서 목적어부분이 $^ 으로 대체된 종속적인 문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부분이 Wh 로 대체하면 원래의 능동형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즉 기호 @는 앞의 주어가 원래 능동형인 다음 종속 문장에서는 ^ 부분에 대치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식구는 중괄호를 사용하는데 위 수동태 문장에서 ^ 를 같은 용법으로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문법적인 특징이 있지만 길어질 것 같고 아직 실험중에 있는 것이 많으며 진행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