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4기가 메리트가 얼마큼 되는지..

sora24의 이미지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학교에서는 느려도 그럴려니 쓰고 있는데..
집에서는 좀 빠르게 써보고 싶어서 램 2기가를 추가 할까 말까 고민중인데 xp에서는 2기가 이상은 머 크게 성능 차이가 없다고 하는데 xp 64비트를 쓰더라도요. 근데 그 이야기가 좀 오래된 이야기죠. 저도 컴돌이다 보니 하드웨어쪽은 관심이 없어도 오래전 부터 알던 이야기인지라 지금은 4기가 써도 성능이 많이 좋아질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쪽으로 아시는분 정보 좀 알려주세요.

제가 cpu는 2160 쓰고요 현제 램은 2기가입니다.
공부 할때 이클립스와 버추얼박스 켜놓습니다. 공부 이외에는 좀 깔끔하게 쓰고 싶어 버추얼박스 안에 오라클을 켜났습니다. 이클립스도 그렇고 버추얼박스도 약간은 무겁기에 4기가 쓰면 컴퓨터 항상이 있을지 기대 하고 있는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dhunter의 이미지

하드를 긁고 있다. 는 느낌이 오지 않는 한에는. 딱히 큰 문제 없는것 같습니다.

1G->2G는 성능 체감이 확연합니다만, 2G->4G는 성능 체감도 적고요.

물론, 램이 요즘 충분히 저렴하니까 지른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iamt의 이미지

아무래도 가상OS를 사용할때인것 같습니다.

이쪽에서 창 엄청띄어놓고 저쪽에서 프로그래밍하면 3기가까지는 종종가더라고요.

램이 4기가까지 먹는 작업은 개인이 쓰기에는 솔직히 제가봤을때 별로 없는것 같습니다.

저도 2기가 추천합니다.
---------------------------------------------------------------------------------
C(++)과 php 펄등을 공부하고있습니다.
반갑습니다! 리눅스 :-)

---------------------------------------------------------------------------------
C(++)과 php 펄등을 공부하고있습니다.
반갑습니다! 리눅스 :-)

jachin의 이미지

윈도우즈에서 체감속도를 높이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적정한 양의 메모리를 장착해서 사용할 것,
    하드디스크 I/O 대역폭을 높이는 것
    그래픽 카드 버스 DMA 대역폭을 늘릴 것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128 bit 이상이어야 좋습니다.)

하드디스크 I/O 를 높이는 방법 중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 등록 정보]-[시스템 복원]-[모든 드라이브에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 에 표시하시는 것
    [시스템 등록 정보]-[자동 업데이트]-[새 업데이트를 알리도록 선택하지만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하지 않습니다.] 를 선택하는 것
    [시스템 등록 정보]-[고급]-[성능 옵션]-[고급]-[가상 메모리]-[변경] 을 선택하신 후 [페이징 파일 없음] 을 선택하는 것
4 GB 의 메모리를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32 bit 의 Windows XP Professional 이후 버전 윈도우즈에서
[시스템 등록 정보]-[고급]-[시작 및 복구]-[시스템 시작] 부분의 [편집] 버튼을 누른 후,
[operating systems] 아래 행, 맨 끝에 '/PAE' 옵션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
( - -)a 이제는 학생으로 가장한 백수가 아닌 진짜 백수가 되어야겠다.

sora24의 이미지

저도 그렇게 세팅 되있긴 하지만 예외가 많이 발생하다보니.. 딱히 무거운 프로그램을 쓰거나 겜을 한다거나 그러진 않는데 프로그램 이것 저것 켰다 껏다 많이 하는편이라서 컴퓨터가 잘 뻗을려고 하더라구요. 하드웨어 보다는 시스템 문제긴 하지만 하드웨어가 높아지면 그런거 조금은 줄긴 줄던데..

hyper9의 이미지

우연히 지나가다 들렀는데,, 잘 보았습니다. ^^

keke111의 이미지

당연히 4기가로 가야지 않나요?
전 8기가 쓰는데.

JuEUS-U의 이미지

4 GB 박고 램하드를 쓰는 방법도 있습니다.
컴파일이나 인코딩 작업을 램에서 놀도록 하더군요.
근데 그닥 필요 없습니다. [...]

현실적으로는 2 GB가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용량입지요 -ω-)r
(게임 빼고 말이죠)

mmx900의 이미지

일단 램이 많아지면 버추얼박스에서 램을 더 많이 잡을수 있어서 게스트 OS에서 이것저것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여러 프로그램 띄워놨을 때 하드 긁는 일 없이 여유롭게 작업전환 할 수 있습니다.
작업전환시를 제외하면 딱히 뭐가 빨라진다거나 하는 느낌은 없었던 것 같네요.
그래도 요즘 메모리가 워낙에 저렴해서 가격대 성능비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1GB에 만원 정도면...)

참, 그리고 메모리를 3.25GB 이상 사용할 수 없는 32비트 윈도 xp/vista에서는 나머지 영역을 램드라이브로 쓸 수 있습니다.
항상 켜놓는 PC에 임시폴더 및 인터넷 폴더를 램드라이브에 넣고 쓰니 웹브라우저 반응속도는 나아지는 것 같더군요.

Setzer Gabbiani

Setzer Gabbiani

headbang의 이미지

Quote:
참, 그리고 메모리를 3.25GB 이상 사용할 수 없는 32비트 윈도 xp/vista에서는 나머지 영역을 램드라이브로 쓸 수 있습니다.

정말로 나머지 영역을 램드라이브로 쓸 수 있나요? 스크린샷 등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배웠는데, 가능하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어 혼란스럽네요.

dhunter의 이미지

http://novrain.egloos.com/1754771

제가 저러한 방식을 통해 3.25GB 이상의 메모리를 램 드라이브로 사용중입니다.

이렇게 할 경우 메모리 사용량이 부팅 직후 1.2GB 정도 나옵니다만, 램 드라이브를 1GB로 잡았는데 비스타가 200MB 밖에 안 쓸리가 없으므로 :) 잘 세팅 되었다는 증거는 되겠지요? :)

PAE를 켜도 3.25GB 이상의 영역을 일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것은 불가능해보입니다.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headbang의 이미지

답변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저의 질문은 'PAE가 비활성화가 되어있을 때 3.25GB 이상을 접근할 수 있나?'라는 것이었습니다. 보내주신 링크에서는 PAE를 활성화해서 3.25GB 이상 영역을 쓰는 방법을 설명했더군요.

PAE(물리주소확장)가 비활성되어있으면 물리주소를 32bit로 표현하던 것을 활성화가 되면 36bit로 표현합니다. 이론적으로 64GB 까지 물리주소공간이 증가합니다.

PAE를 활성화하면 굳이 램드라이브로 쓰지 않더라도 3.25GB 이상의 램을 쓸 수 있지 않나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건 MS가 32bit Windows를 제대로 못 만들었다고 밖에 설명이 안되고요. 참고로 linux 에서는 PAE 활성화만 해서 램 4GB를 모두 쓰는 것을 보았습니다.

dhunter의 이미지

비스타에서는 PAE를 활성화 시키더라도 시스템에서 돌려주는 메모리 사이즈는 3.2GB에서 멈춥니다.

이로 미루어볼때, 하위 지원이라던가 어떤 특수한 이유등으로 인해, 비스타는 PAE를 켜더라도 어플리케이션에서 3.2GB 이하만을 사용하도록 허용하고, OS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만이 나머지 메모리 구조에 접근하는것 같습니다.

PAE를 활성화 시키지 않을때도 마찬가지고요... 제대로라고 하긴 힘듭니다만 아마 다른 이유가 있겠죠.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Necromancer의 이미지

AWE API를 이용하는 프로그램들(MSSQL 등)만이 4G 이상 영역을 쓸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headbang의 이미지

wikipedia에서 해당 항목을 읽어보니 AWE는 사용자 프로세스가 (커널이 아닌) '사용자' 가상주소공간이 부족해서 쓰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Linux 커널은 '커널'용 가상주소공간이 부족해서 high memory를 유사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3.25GB 정도의 RAM 밖에 접근 못하는 것은 가상주소공간이 아닌 물리주소공간이 부족해서이구요. 역시 Wikipedia에서 찾아보니, PAE를 통해 물리주소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했는데도 Windows XP가 3.25GB 밖에 접근 못한다는 것은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 때문이랍니다. (납득은 잘 안되는 군요. 사용자 가상주소공간으로 맵핑해서 사용하면 별 문제 없을텐데요.)

망치의 이미지

전 ASUS P5B-V 사용중인데 1G 4개 꽂았는데 인식을 못합니다.
최대 인식한게 2.7기가 -_-;

메인보드 문제라더군요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Darkcircle의 이미지

롬 바이오스를 업글해야 하는경우도 있다죠... 지금 제가 가진 메인보드, P35-DS3R이 그렇습니다. 업글 안하고 개기는 중인데...
아마 언젠가 4긱 그 넘어선 이상이 필요할때면 메인보드 이거 업글 안하고 걍 메모리랑 새로 사겠죠...
어지간해선 운영체제 + 프로그램이 개인용 컴퓨터에서 엄청난 프로세스양이 요구되는 오락(?)을 하지 않은 이상
미쳤다고 막 3기가 4기가 이렇게 먹을리는 없을테니까요. 뭐 지금도 어지간한 프로그램들 충분히 잘 쓰고 있으니 별문제는 없죠.
2긱에도... 저녀~ Orz ... =3 뿡.

---------------------------------------------------------------
폐인이 되자 (/ㅂ/)

---------------------------------------------------------------
폐인이 되자 (/ㅂ/)

crazyits의 이미지

가상화를 사용하면서 시스템 전체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을 해보세요..

1.5GB를 넘어 2GB에 근접을 한다면 메모리를 업하면 효과는 있을 겁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현재 사용하는 CPU는 하드웨어 가상화(VT, AMD-V)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것도 한몫을 하는 것 같은데요.. ^^

seungje의 이미지

실제로 이 내용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해보고 어떻하면 나에게 가장 알맞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해봤습니다.

위에서 많은 분들이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만,

우선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32비트 운영체제일 경우]
단순히 많은 메모리를 컴퓨터에 꽂았다... 라는 뿌듯함부터,
설치된 8GB~16GB 메모리가 거의 풀 상태로 무언가에 사용중인 것까지 말입니다.

또한 중요한 것 하나는,

많은 메모리를 잡아먹는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의 양입니다.
32비트 운영체제에서 32비트 응용프로그램 조합이라면, 이론상 2GB을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많은 문서에서도 쓰여있다시피 1.2GB정도에 한정됩니다.
(물론 /3GB 옵션등을 사용하면 1.8GB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군요. 요건 직접 해보지는 못함)

[64비트 운영체제일 경우]
일단 설치하는데로 인식은 잘 되겠죠.
메모리 사용도 큰 문제 없을 겁니다.
하지만 64비트 운영체제 역시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한계는 분명 있습니다.
스펙상으로는 16TB라지만, 2.8GB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64비트 운영체제는 /3GB 옵션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상은 마이크로소프트의 MSDN과 위키피디아, 구글링 등을 통하여 직접 제가 저의 시스템에 적용해보고, 실 사용중인 내용에 근거하여 기술하였습니다.

...

iamt의 이미지

정말 1.2g까지 밖에 안돼나요??
혹시 그근거에대해 좀더 이야기 해주실수있으시겠습니까?
---------------------------------------------------------------------------------
C(++)과 php 펄등을 공부하고있습니다.
반갑습니다! 리눅스 :-)

---------------------------------------------------------------------------------
C(++)과 php 펄등을 공부하고있습니다.
반갑습니다! 리눅스 :-)

JuEUS-U의 이미지

1.2GB는 .NET 한정 아닌가요..?

cynicjj의 이미지

당연히 4G 추천입니다.
비용이 많이 드는것도 아니잖아요?

tristam의 이미지

일단 윈도7이 나오면 4G를 지원할것이므로 분명히 4G를 쓰게 될텐데..그때 업그레이드하게 되면 대량생산하지 않는 메모리는 값이
너무 비싸지죠..;; 이제 DDR3로 슬슬 넘어가려 하는 추세 아닌가요?
지금 램값이 올랐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싼편이니 질러서 4G 맞춰놓는것도 좋겠습니다.

물론 윈도7 나왔을때 PC 바꾸실분들은 상관 없겠지만요.

지금 DDR-1 구하려고 하니 거의 없을뿐만 아니라, 있어도...1G에 5만원대...-.-;;

젤쌀때 안쓰더라도 달아놓자..그게 남는거네요.

mirr187의 이미지

저 같은 경우는 주로 하는게 메모리를 가지고 작업하는거라... 높으면 높을수록 원츄~!-_-;
메모리가 높을수록 대용량 데이터를 핸들링하는데 있어서 짜증이 적어진다죠...

seungje의 이미지

제가 위에서 적어두었지만, 메모리가 아무리 많아도 사용할 수 없는 메모리는 그림에 떡일 뿐입니다.

사실 8GB 메모리를 컴퓨터에 설치해서 사용중이지만,
여러개의 프로그램이 8GB의 메모리를 나눠쓸때도 있고,
하나의 프로그램이 많은 메모리를 독점해서 쓸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하나의 프로그램이 아무리 많은 메모리를 가진다 하여도
32비트 응용프로그램이라면 1.8GB,
64비트 응용프로그램이라면 2.8GB 이상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죠.

뭐 1.8GB(32bit+/3GB) 또는 2.8GB(64bit) 만큼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을겁니다.
위의 글에서 "높으면 높을수록 원츄~!" 라고 하시기에 사족을 달아봤습니다.

이 글타래는 어디까지나 "램 4기가의 메리트가 얼마나 되는지.." 이니까요.

...

esrevinu의 이미지

저는 어떤 계산 프로그램이 32GB의 메모리가 장착된 워크스테이션에서도
못 돌릴 정도로 메모리를 많이 써서 프로그램을 고치고 있는데요.

keizie의 이미지

.

JuEUS-U의 이미지

** = _=) 제가 썼지만 글이 참 한심해서 지웁니다 ㅎㅎㅎ

여튼, 리눅스에는 그런 한계치가 없습니다.
리눅스 2.6 커널은 3기가 램에서 3기가 프로세스를 돌릴 수 있습니다. 헐. = _=)
윈도우는... 정말 답이 안서죠...
(뭐 그런 의미에서 요즘 용쓰고 애쓰는게 보기가 좋습니다.)

송효진의 이미지

8GB 를 원하는데, 노트북이라서...거의 100만원정도 들더군요.OTL
어서빨리 노트북용 4GB 메모리가 가격인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emerge money
http://wiki.kldp.org/wiki.php/GentooInstallSimple - 명령어도 몇개 안되요~
http://xeno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