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커널은 누가 만드는가?

권순선의 이미지

이번주 lwn.net에 흥미로운 기사가 났군요.

리눅스 커널 2.6.19 -> 2.6.20 사이에 changeset 기준, LOC 기준으로 누가 가장 많이 공헌을 했는지, 어느 회사가 가장 공헌을 많이 했는지 분석을 했습니다. 물론, changeset, LOC 모두 정확한 근거는 될 수 없지만 개략적인 경향은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 역시 예상대로… 이쪽에서 많이 알려진 RedHat, IBM, Novell이 가장 많은 공헌을 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아 그리고 여기서 파악할 수 있는 또다른 내용은… 더 이상 리눅스가 취미’로만 개발된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오픈소스에 대해서 그런 인상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지만… 리눅스의 경우 Core에 해당하는 부분은 거의 대부분 회사에서 월급을 받고 개발하는 사람들이 맡고 있고, 이는 많이 활용되고 유명한 다른 오픈소스(apache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Top changeset contributors by employer
(Unknown) 1307 26.2%
Red Hat 636 12.8%
(None) 383 7.7%
IBM 368 7.4%
Linux Foundation 353 7.1%
Novell 295 5.9%
Intel 178 3.6%
Oracle 126 2.5%
University of Aberdeen 79 1.6%
HP 78 1.6%
Qumranet 71 1.4%
Nokia 67 1.3%
SGI 64 1.3%
MIPS Technologies 61 1.2%
SANPeople 53 1.1%
Miracle Linux 43 0.9%
MontaVista 41 0.8%
Broadcom 39 0.8%
SWsoft 37 0.7%
NetApp 36 0.7%

Top lines changed by employer
(Unknown) 81460 23.4%
Red Hat 44527 12.8%
(None) 38099 11.0%
IBM 25244 7.3%
Linux Foundation 14696 4.2%
Qumranet 12108 3.5%
Novell 11930 3.4%
Intel 11652 3.4%
SANPeople 9888 2.8%
NetXen 9607 2.8%
Sony 8497 2.4%
Broadcom 8349 2.4%
Tensilica 8195 2.4%
Nokia 5581 1.6%
MontaVista 4394 1.3%
University of Aberdeen 4324 1.2%
One Laptop Per Child 3975 1.1%
Secretlab 3370 1.0%
HP 3211 0.9%
SGI 3077 0.9%

2.6.19 -> 2.6.20이 아니라 최근 1년간의 히스토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와 크게 차이는 없죠…

Top lines changed by employer
(Unknown) 740990 29.5%
Red Hat 361539 14.4%
(None) 239888 9.6%
IBM 200473 8.0%
QLogic 91834 3.7%
Novell 91594 3.6%
Intel 78041 3.1%
MIPS Technologies 58857 2.3%
Nokia 39676 1.6%
SANPeople 36038 1.4%
SteelEye 36021 1.4%
Freescale 35034 1.4%
Linux Foundation 34163 1.4%
MontaVista 30211 1.2%
Simtec 26166 1.0%
Atmel 25975 1.0%
HP 23714 0.9%
SGI 22057 0.9%
Oracle 21251 0.8%
Open Grid Computing 20505 0.8%

댓글

feanor의 이미지

안됐지만 그 LWN 기사는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야 볼 수 있습니다.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고 보시려는 분들은 다음 주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저는 유료 회원으로 몇년째 가입해 있습니다. 제가 돈내고 가입한 첫번째 온라인 사이트입니다. 충분히 가입할 만한 가치가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많이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익명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차기 버전은 언제 나오나요?

2.6 커널이 공개 된지도 상당히 오래 됐는데 이제 슬슬 2.8 이나 3.0 커널이 나올때 되지 않았나요?

ganadist의 이미지

http://kerneltrap.org/node/4793

커널 버젼 정하기 변경에 대해서 처음에 리누즈가 LKML에 올렸던 메일입니다.

결과적으로 전혀 다른 정책으로 진행되었지만 별로 3.0으로 가고 싶어하는 생각은 없어보이네요. :)

 - 2.<odd>.x: aim for big changes that may destabilize the kernel for 
   several releases (timeframe: a year or two)
 - <odd>.x.x: Linus went crazy, broke absolutely _everything_, and rewrote
   the kernel to be a microkernel using a special message-passing version 
   of Visual Basic. (timeframe: "we expect that he will be released from 
   the mental institution in a decade or two").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권순선의 이미지

참고로, 해당 기사 내용 중… 개발자별로 2.6.19 -> 2.6.20 사이에 가장 많은 changeset을 공헌한 사람을 뽑은 테이블이 있는데 그중에 한국 사람이 있습니다. 아래 Tejun Heo(허태준)라는 분입니다. KLDP와도 인연이 있는 분이지요. GCC Inline Assembly HOWTO

Developers with the most changesets
Al Viro 241 4.8%
Andrew Morton 92 1.8%
Jiri Slaby 92 1.8%
Adrian Bunk 87 1.7%
Gerrit Renker 79 1.6%
Josef Sipek 79 1.6%
Avi Kivity 68 1.4%
Tejun Heo 67 1.3%
Patrick McHardy 63 1.3%
Ralf Baechle 61 1.2%
Randy Dunlap 59 1.2%
Alan Cox 58 1.2%
Mariusz Kozlowski 57 1.1%
Andrew Victor 53 1.1%
Paul Mundt 52 1.0%
Stefan Richter 49 1.0%
David S. Miller 48 1.0%
Russell King 44 0.9%
Benjamin Herrenschmidt 44 0.9%
Akinobu Mita 43 0.9%

lkml에서는... libata 관련해서 꽤 오랫동안 작업을 많이 해 오셨고, 최근에는 device resource management 패치 쪽도 작업을 하셨지요.

허태준님께서 계속해서 활발한 활동 이어가시기를 기원합니다...

sheep의 이미지

놀랍고 반갑네요...

--------
From Buenos Aires, Argentina
No sere feliz pero tengo computadora.... jaja
닥치고 Ubuntu!!!!!
To Serve My Lord Jesus
blog: http://sheep.tistory.com (블로그 주소 바꼈습니다)

--------
From Buenos Aires, Argentina
No sere feliz pero tengo computadora.... jaja
닥치고 Ubuntu!!!!!
To Serve My Lord Jesus
blog: http://sehoonpark.com.ar
http://me2day.net/sheep

댓글 달기

Filtered HTML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BBCode

  • 텍스트에 BBCode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RL은 자동으로 링크 됩니다.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Textile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You can use Textile markup to format text.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Markdown

  • 다음 태그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 구문 강조를 할 수 있습니다: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지원하는 태그 형식: <foo>, [foo].
  • Quick Tips:
    • Two or more spaces at a line's end = Line break
    • Double returns = Paragraph
    • *Single asterisks* or _single underscores_ = Emphasis
    • **Double** or __double__ = Strong
    • This is [a link](http://the.link.example.com "The optional title text")
    For complete details on the Markdown syntax, see the Markdown documentation and Markdown Extra documentation for tables, footnotes, and more.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 <p><div><span><br><a><em><strong><del><ins><b><i><u><s><pre><code><cite><blockquote><ul><ol><li><dl><dt><dd><table><tr><td><th><thead><tbody><h1><h2><h3><h4><h5><h6><img><embed><object><param><hr>

Plain text

  •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web 주소와/이메일 주소를 클릭할 수 있는 링크로 자동으로 바꿉니다.
  • 줄과 단락은 자동으로 분리됩니다.
댓글 첨부 파일
이 댓글에 이미지나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 크기는 8 MB보다 작아야 합니다.
허용할 파일 형식: txt pdf doc xls gif jpg jpeg mp3 png rar zip.
CAPTCHA
이것은 자동으로 스팸을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