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장호연의 이미지

SSH 접속을 통해 데비안 8 클린설치가 가능합니까?

기존에 쓰던 마이클라우드를 학업용 서버 및 owncloud 사용을 위해 여러가지 하던 중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많이 쌓였으나 제가 어떤걸 깔았고 어떤걸 건드리면 안되는지 잘 몰라 이번 기회에 한번 엎어버리려 합니다.
이번에 설치할 때는 설정을 거의 안건드리고 파티션도 아주 기본적인 형태로 짜려합니다.

방법이 있을까요?

데비안 공식 문서를 보고 따라하고 싶지만 파티션 부분이 막힙니다.

wonjnlee의 이미지

netfilter iptables를 이용할 때 mtu 사이즈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학교에서 테스트하고 있는 연구주제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netfilter의 iptables를 이용하여 PC-A에서 PC-B로 이동하는 패킷의 페이로드양과 패킷정보를 출력하고 싶은데요.
출력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부분을 또다른 PC들(SERVER-A, SERVER-B)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이 모니터링에 사용하는 PC(SERVER-A, SERVER-B)들의 mtu를 줄여서, mtu가 줄어들었을 때의 속도 차이를 계산해보려고 하는데요.

PC-A (mtu 1500) -> SERVER-A (mtu 1200) -> NETWORK -> SERVER-B (mtu 1200) -> PC-B (mtu 1500)

세벌의 이미지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고시 최신 버전은?

https://www.korea.go.kr/ntnadmNews/926561 를 보면
기상청(청장 고윤화)은 12월 1일부터 관측 자료의 상호 교환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고시’를 개정하여 시행한다고 밝혔다.
(중략)
한편,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고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기상청 누리집(www.kma.go.kr) 또는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라고 하는데 law.go.kr 에서 어떻게 확인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고시
라고 치면 안 나와서요...

구글 검색해 보면 몇년 지난 것만 찾아지고...

solar-beam의 이미지

리눅스를 공부하려고 LFS를 들여다 보고 있습니다.

비전공자로서 학교에서 2년 동안 프로그래밍을 배워, 이번 학기에는 안드로이드 다중 채팅방 어플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아마존 ec2 우분투 서버의 NodeJS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 메시지를 중계하고, 웹소켓을 바인딩해 방을 구분하는 형식으로 구현했습니다.
프로젝트를 직접 진행해보니 부족한 부분이 한 눈에 들어왔습니다.
네트워크와 컴퓨터시스템의 기본 지식이 부족해, API문서를 보고도 이해하지 못하곤 했습니다.
이번 방학 동안 리눅스를 소스코드 단계부터 차근차근 경험해보며 부족한 공부를 하고 싶습니다.

wonjnlee의 이미지

MTU 1500 이상으로 설정하는 방법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카드 mtu 값을 1500 이상으로 하고 싶은데요.

ifconfig eth0 mtu 2000

예를들어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SIOCSIFMTU : 부적절한 인수

라고 하면서 불가능하네요.

이런거는 네트워크 카드가 지원을 안하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건가요?

네트워크 카드는 좀 옛날거구요.. 리눅스도 굉장히 옛날 버전입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세벌의 이미지

우분투 14.04? 16.04?

우분투 14.04 쓰고 있는데 16.04 로 올릴것인가 말 것인가 생각중입니다.
14.04와 16.04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참고로 제 컴 cpu는
model name : Intel(R) Core(TM)2 Duo CPU E8500 @ 3.16GHz
입니다.

jisoohero의 이미지

텔넷 쓰려고 iptime 펌웨어 건들고 있는데.....

텔넷을 요즘에는 아예 커맨드를 빼놓고 출시하더군요 그래서 직접 넣으려 하는데 리팩이 어렵네요.....
비지박스랑 펌웨어 첨부합니다 비지박스를 /bin에 넣어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cessor : ARMv7 Processor rev 0 (v7l)
processor : 0
BogoMIPS : 1599.07

processor : 1
BogoMIPS : 1595.80

Features : swp half thumb fastmult edsp
CPU implementer : 0x41
CPU architecture: 7
CPU variant : 0x3
CPU part : 0xc09
CPU revision : 0

Hardware : Northstar Prototype
Revision : 0000
Serial : 0000000000000000

armv7인것 같네요

nixon4545의 이미지

qemu에서 제가 만든 디바이스드라이버 오픈이 안되네요...

따로 만든 테스트프로그램(당연히 유저프로그램)에서는 이상없이 잘 돌아가는데

qemu 소스중에 block/raw-posix.c를 보면

pwrite를 호출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 호출 전에

제가 만든 /dev/mydev를 오픈해보려고 하는데 계속 리턴값이 -1이 나오네요

errno는 1이 나오는데 1번의 의미가 operation not permitted라고 나옵니다

일단 permission의 문제인건 맞는거 같은데

무슨방법을 써도 오픈이 안되네요... 왜이러는걸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