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blablabla@Naver의 이미지

도와주실분 급구!!!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C++의 실행화면을 어떻게 코딩해야 종료가 되나요?

woal873의 이미지

쉘 스크립트를 source ***.sh로 실행하면 왜 shebang이 먹히지 않나요?

첫줄에 '#!/bin/rm'으로 명시하고
'./***.sh'로 실행하면 스크립트가 삭제되던데

'$ sh ***.sh'
'$ source ***.sh'
'$ . ***.sh'

위에처럼 3가지 방법으로 실행시키면 삭제가 아니라
내부 명령어들을 그냥 수행하네요
왜 이런건지 알려주세요 ㅠㅠ

zkxkr0의 이미지

문법오류질문입니다

함수를 만들어서 컴파일을 돌렸는데 함수명앞에 문법오류가있다고 자꾸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살려주세요....

코드내용

#include
#include "student.h"
#define START_ID 20160000

ekejaqutmqk의 이미지

[linux/gcc] clock() 함수 질문이 있습니다.

https://github.com/Choi-Jongin/ERICA_JOS

안녕하세요 오픈소스 프로젝트 JOS를 개발중에 있는 학생입니다.
기존 부정확한 1FPS 프로그램에서 가변 프레임을 적용하고 또 임시로 최대 화면 갱신을 초당 30으로 적용했는데
알고 보니 1초가 1초가 아니였습니다..

지금 코드는

while(1)
{
현재시간 = clock()
흐린시간 현재시간 - 이전시간
누적흐른시간 += 흐른시간
if( 누적흐른시간 >= CLOCKS_PER_SEC / FPS )
{
누적흐른시간 -= CLOCKS_PER_SEC/FPS
이번 프레임 수행
}
이전시간 = 현재시간
}

이런 식으로 되어있습니다..

awdxawdx101의 이미지

C, asm이 계속 사용되는 이유?

갑자기 궁금해진게 있습니다.
python을 처음 시작할 때 장/단점을 말하면서 많이 들은겁니다.

python의 단점이 실행 속도가 느리다는 점인데, 앞으로 기술 발전으로 인해 H/W 성능이 좋아져서 결국 C와의 속도차가 점점 줄어든다고 합니다.

난이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C, asm을 사용하는 이유가 포인터와 빠른 속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난이도가 낮은 python이 속도면에서 따라잡는다면, C&asm을 오로지 포인터 사용을 위해 남아있게 되는건가요?

다른 이유가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임베디드 리눅스 시리얼 통신 질문입니다

root@:~# cat /proc/tty/driver/serial
serinfo:1.0 driver revision:
0: uart:8250 mmio:0x44E09000 irq:30 tx:9364 rx:0 RTS|CTS|DTR|DSR
1: uart:8250 mmio:0x48022000 irq:31 tx:4286 rx:279 CTS|DTR|DSR|CD|RI
2: uart:8250 mmio:0x48024000 irq:32 tx:0 rx:0 CTS|DSR
3: uart:unknown port:00000000 irq:0
4: uart:8250 mmio:0x481A8000 irq:33 tx:0 rx:0 CTS|DSR
5: uart:8250 mmio:0x481AA000 irq:34 tx:0 rx:0 CTS|DSR
6: uart:unknown port:00000000 irq:0
7: uart:unknown port:00000000 irq:0
8: uart:unknown port:00000000 irq:0

Zinnia의 이미지

tc(traffic control binary) 사용시 drop packet 정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tc setting을 처음 해보는 초보유저 입니다.

tc에서 drop 된 packet의 정보(ip/port 정보)를 알아야 하는데

tc 에서 statistic 정보를 보면 drop packet count는 되는데 어떤 packet이 drop 되었는지에 대한 상세 정보는 없어서요

이런저런 howto 문서들에는 해당 경우에 drop된다 정도만 나와있고 그 이상의 정보들은 없더라고요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

emptynote의 이미지

API 기대한 모습과 실제 동작은 다르네요.

자바에서 File.deleteOnExist 라고 자바 가상머신 종료후 파일 삭제하는 좋은 기능이 있습니다.

단위 테스트를 위해서 임시 디렉토리를 만들어야 해서

이것을 이용하여 삭제를 하려 했는데

원하는데로 동작해 주지 않네요.

(1) codda/project/sample_base/server_build/APP-INF/classes
(2) codda/project/sample_base/resources

2개 경로를 각각 deleteOnExist 로 했을때

(2) 만 지워지고 (1) 이 남네요.

늘 그렇듯이 기대한 모습과 실제 동작은 큰 차이를 보이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파일 특정 위치부터 읽는법

파일을 쓰고 읽고있습니다

현재 파일 안에
가...
갸...
거...
겨...

...

흐...
히...

대충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getline 한줄씩 읽으니까 '하' 부분을 찾으려면 오래걸리네요
특정 위치부터 읽는법은 없나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